원 나이트 스탠드 (1997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 나이트 스탠드》는 1997년에 개봉한 마이크 피기스 감독의 영화이다. 성공한 광고 감독 맥스가 뉴욕 출장 중 우연히 만난 여성 캐런과 하룻밤을 보낸 후, 1년 뒤 캐런이 맥스의 친구의 형수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겪는 갈등을 그린다. 웨슬리 스나이프스, 나스타샤 킨스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등이 출연했으며, 로튼 토마토에서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웨슬리 스나이프스가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이크 피기스 감독 영화 - 유혹은 밤 그림자처럼
1993년 개봉한 영화 유혹은 밤 그림자처럼은 LAPD 소속 악덕 경찰 데니스 펙의 비리를 내사과 레이먼드 아빌라가 파헤치는 범죄 스릴러로, 리처드 기어와 앤디 가르시아가 주연을 맡아 긍정적인 평가와 보통 수준의 흥행을 기록했다. - 마이크 피기스 감독 영화 - 미스터 존스 (1993년 영화)
미스터 존스 (1993년 영화)는 조울증을 겪는 남자가 정신과 의사와 사랑에 빠지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며, 리처드 기어가 조울증 환자 존스 역을, 레나 올린이 정신과 의사 엘리자베스 보웬 박사 역을 맡았다. - 다른 인종간의 사랑을 다룬 영화 - 몬스터 볼 (영화)
마크 포스터 감독의 영화 《몬스터 볼》은 조지아주 교도소를 배경으로 사형 집행에 관련된 백인 교도관과 사형수의 흑인 아내의 만남을 통해 인종, 계급, 과거의 상처 극복 과정을 그린 드라마로, 할리 베리가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다른 인종간의 사랑을 다룬 영화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1961년 영화)
1961년 개봉한 미국의 뮤지컬 영화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는 1950년대 뉴욕 어퍼 웨스트 사이드를 배경으로 폴란드계 미국인 갱단 제츠와 푸에르토리코계 갱단 샤크 간의 갈등 속 비극적인 사랑을 그린 작품으로, 로버트 와이즈와 제롬 로빈스 공동 연출, 레너드 번스타인 음악, 스티븐 손드하임 가사, 리처드 베이머, 나탈리 우드 등이 출연했으며, 아카데미상 10개 부문을 수상했다. - 뉴 라인 시네마 영화 - 호빗 (영화 시리즈)
피터 잭슨 감독이 J.R.R. 톨킨의 소설 《호빗》을 원작으로 제작한 3부작 영화 시리즈는 빌보 배긴스의 모험과 중간계의 다섯 군대 전투를 묘사하며, 제작 과정의 어려움과 고프레임률 촬영 시도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고 흥행에는 성공했으나 원작 해석과 완성도에 대한 논쟁이 있다. - 뉴 라인 시네마 영화 - 섹스 앤 더 시티 (영화)
《섹스 앤 더 시티》 영화는 HBO 드라마 시리즈의 속편으로, 캐리 브래드쇼와 빅의 결혼, 네 친구들의 삶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여성 캐릭터 묘사와 성차별적 시각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로맨틱 코미디 영화이다.
원 나이트 스탠드 (1997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영화 정보 | |
제목 | 원 나잇 스탠드 |
원제 | One Night Stand |
감독 | 마이크 피기스 |
프로듀서 | 마이크 피기스 벤 마이론 애니 스튜어트 |
각본 | 마이크 피기스 |
출연 | 웨슬리 스나입스 나스타샤 킨스키 카일 매클라클란 밍나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음악 | 마이크 피기스 |
촬영 | 데클란 퀸 |
편집 | 존 스미스 |
배급사 | 뉴 라인 시네마 |
개봉일 | 1997년 11월 14일 (미국) |
상영 시간 | 102분 |
제작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2300만 달러 |
흥행 수입 | 260만 달러 (미국) |
2. 줄거리
영화는 주인공 맥스 칼라일의 내레이션으로 시작한다. 로스앤젤레스에 사는 맥스는 성공한 TV 광고 감독으로, 아내 미미와 두 아이와 함께 행복한 가정을 꾸리고 있다.
(내용 없음)
뉴욕으로 출장을 간 맥스는 오랫동안 소원했던 친구 찰리를 만나기로 한다. 찰리는 HIV에 감염된 상태였다. 맥스는 찰리에게 수술비 지원 의사를 묻지만 찰리는 농담으로 넘긴다. 맥스가 자신의 아들 이름을 찰리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고 말하자, 찰리는 도움이 필요하면 연락하라고 답한다.
다음 날, 호텔을 나서려던 맥스는 만년필 잉크가 새어 셔츠를 더럽히게 되고, 우연히 캐런이라는 여성을 만나 그녀의 방에서 옷을 갈아입는다. 파트너가 이미 공항으로 떠났다는 것을 알게 된 맥스는 뒤쫓아가려 하지만, 그날 유엔 축하 퍼레이드로 도로가 폐쇄되어 비행기를 놓치고 만다. 캐런에게 클래식 콘서트 표가 남았다는 말을 들은 맥스는 그녀와 함께 콘서트를 관람한다. 콘서트 후 거리를 걷던 중 강도를 만나지만, 맥스의 기지로 위기를 모면한다. 캐런의 호텔 방에 도착한 후, 두려워하는 캐런은 맥스에게 함께 있어 달라고 부탁하고, 두 사람은 감정에 휩쓸려 하룻밤을 함께 보낸다.
로스앤젤레스로 돌아온 맥스는 정사의 흔적을 숨기지만, 캐런을 잊지 못하고 아내 미미와의 관계는 점차 냉랭해진다. 맥스는 겉으로는 이유를 말하지 않지만, 멀고 불행한 모습을 보인다.
1년 후, 찰리의 병세가 악화되어 에이즈로 죽음이 임박했다는 소식을 듣고 맥스는 가족과 함께 다시 뉴욕을 찾는다. 그곳에서 찰리의 형 버논과 그의 새 아내를 소개받는데, 그녀는 바로 1년 전 하룻밤을 보냈던 캐런이었다. 캐런과의 예기치 못한 재회에 맥스는 큰 혼란에 빠지고, 결국 자신의 과거 행동에 대해 아내 미미에게 고백해야 함을 깨닫는다.
3. 출연진
3. 1. 주연
배우 | 배역 |
---|---|
웨슬리 스나입스 | 맥시밀리언 "맥스" 카일 |
나스타샤 킨스키 | 카렌 |
카일 맥라클란 | 버논 리버스 |
밍나 | 미미 카일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찰리 리버스 |
글렌 플러머 | 조지 |
아만다 도노휴 | 마고 |
토머스 헤이든 처치 | 돈 |
줄리안 샌즈 | 찰리의 간호사 |
젠더 버클리 | 찰리의 친구 |
3. 2. 조연
wikitext배역 | 배우 |
---|---|
맥시밀리언 "맥스" 카일 | 웨슬리 스나이프스 |
카렌 | 나스타샤 킨스키 |
버논 리버스 | 카일 맥라클란 |
미미 카일 | 밍나 |
찰리 리버스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찰리 카라일 | 마커스 T. 포크 |
사프론 카라일 | 나탈리 트로트 |
조지 | 글렌 플러머 |
마고 | 아만다 도노휴 |
미키 | 조이 네이슨슨 |
돈 | 토머스 헤이든 처치 |
필 | 존 라첸버거 |
마브 | 토마스 코파치 |
네이선 | 빈센트 워드 |
프런트 담당자 | 마이크 피기스 |
접수원 | 마가렛 매키넌 |
찰리의 간호사 | 줄리안 샌즈 |
찰리의 친구 | 젠더 버클리 |
4. 제작
영화 제작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인물들이 참여했다.
- '''감독''': 마이크 피기스
- '''각본''': 마이크 피기스, 조 에스터하스
- '''제작''': 마이크 피기스, 밥 잉겔먼, 마이클 데 루카, 리처드 사파스타인
- '''촬영 감독''': 데클란 퀸
- '''프로덕션 디자이너''' (미술): 발데마르 칼리노우스키 (Waldemar Kalinowski)
- '''편집''': 존 스미스
- '''의상 디자인''': 로라 골드스미스, 에니드 해리스
- '''음악''': 마이크 피기스
- '''캐스팅''': 낸시 포이
4. 1. 기획 및 각본
이 영화는 조 에스터하스가 1992년작 《원초적 본능》의 성공으로 각본가로서 명성을 떨치던 시기에 쓴 각본을 바탕으로 했다. 1994년, 에스터하스는 《원 나이트 스탠드》의 4페이지 분량 개요를 뉴 라인에 250만달러에 판매했으며, 촬영이 시작되면 추가로 150만달러를 받기로 계약했다.[2] 에스터하스의 에이전트 가이 맥엘웨인은 "아무도 영화 아이디어에 이런 거액을 지불한 적이 없다"고 언급할 정도였다.[2] 이전 기록 역시 에스터하스가 존 고티에 관한 책을 컬럼비아 픽처스에서 각색하는 대가로 받은 160만달러(총 340만달러)였다.[2]이 거래에는 애드리안 라인이 감독으로 참여한다는 조건이 포함되어 있었다. 라인은 각본 개발 참여 명목으로 25만달러를 받았고, 최종적으로 감독료 700만달러를 받기로 했다.[3] 뉴 라인의 로버트 샤예는 "조 에스터하스와 애드리안 라인과 함께라면, 아이디어에 투자하는 것 이상으로, 세계적인 각본가와 감독이 함께하는 영화에 투자하는 것이며, 이는 세계적인 재능을 끌어들일 수 있다"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그는 이 제안을 단순한 아이디어가 아닌 "완성된 패키지"로 간주했다.[2]
에스터하스는 이 영화가 자신의 결혼 파탄 경험을 바탕으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영화 속 하룻밤 관계에 대해 "그들은 대화를 나누고, 섹스를 하고, 사랑을 나눕니다. 저는 이 두 가지를 구분합니다. 단순히 섹스만이 아니라... 마음에 관한 것입니다."라고 설명했다.[4] 에스터하스는 1995년 초에 각본 초고를 제출했는데,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이를 두고 "처음 65페이지는 커플 간의 올림픽 10종 경기 스타일의 성적 만남에 할애되었고, 섹스 자체만큼이나 섹스에 대한 거친 이야기가 많았다"고 평가했다.[3]
그러나 라인은 《로리타》(1997) 리메이크 연출을 위해 프로젝트에서 하차했다. 뉴 라인은 《라스베가스를 떠나며》를 막 연출한 마이크 피기스에게 감독직을 제안했다. 피기스는 약 250만달러의 감독료를 받고, 각본 재작성, 여러 대의 카메라 사용, 즉흥 연기 허용 등 자신의 스타일로 영화를 만들 수 있다는 조건 하에 연출을 수락했다.[3] 피기스는 에로틱 스릴러 연출에 대해 "사람들이 나를 파시스트 정당으로 망명한 것처럼 볼 것으로 예상한다. 하지만 나는 대중의 여론에 흔들리지 않을 것이다. 조의 대본은 내가 보던 다른 대본보다 훨씬 덜 틀에 박힌 무언가를 가지고 있었다."라고 말했다.[3] 그는 또한 큰 예산 영화를 통해 처음으로 "음악에 대한 적절한 예산을 확보하고 음악을 제어"하며 최종 편집권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매력을 느꼈다고 밝혔다.[5]
뉴 라인의 사장 마이크 데 루카는 피기스의 각색 방향에 대해 "우리는 괜찮게 생각한다. 왜냐하면 [마이크]는 이 자료에 최대한의 가치를 부여할 방법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미국의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와 같은, 성적인 정치와 위선을 탐구하는 영화를 원했다. 조의 대본은 그 커플의 관계에 관한 것이었다. 마이크의 버전은 결과에 더 초점을 맞춘다."라며 지지 의사를 표했다.[3]
피기스는 에스터하스의 원안을 상당히 수정했다. 《타임스》는 두 각본의 차이를 "마치 같은 노래의 두 가지 다른 버전을 듣는 것과 같다. 하나는 에디 반 헤일런, 다른 하나는 윈턴 마살리스가 연주한 것 같다."고 비유했다.[3] 피기스는 주요 등장인물의 설정을 변경하고, 에이즈로 죽어가는 친구에 대한 하위 줄거리를 추가했다. 이 설정은 피기스 자신의 친구가 에이즈로 사망한 경험에서 비롯된 것으로, 그는 "내 좋은 친구가 에이즈로 죽었고 그것은 나에게 강력한 영향을 미쳤다. 나에게 그 캐릭터는 촉매제였고, 영화 속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람이었다."라고 설명했다.[3]
에스테르하스는 대본이 너무 많이 바뀌어서 그의 이름을 크레딧에서 빼달라고 요청했다. 촬영 중에 그는 "나는 마이크를 존경하며, 그래서 영화가 어떻게 나올지 매우 궁금하다."라고 말했다.[3]
4. 2. 캐스팅
배역 | 배우 |
---|---|
맥시밀리언 "맥스" 카일 | 웨슬리 스나이프스 |
카렌 | 나스타샤 킨스키 |
버논 리버스 | 카일 맥라클란 |
미미 카일 | 밍나 웬 |
찰리 리버스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조지 | 글렌 플러머 |
마고 | 아만다 도노호 |
돈 | 토머스 헤이든 처치 |
찰리의 간호사 | 줄리안 샌즈 |
찰리의 친구 | 젠더 버클리 |
남자 주인공 맥스 카일 역에는 웨슬리 스나이프스가 캐스팅되었다. 스나이프스는 이 역할이 원래 "정통 영국 백인 남성 역할"이었다고 언급하며, "거의 영국식 억양을 쓸 뻔했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그게 도전이 되는 거죠. 시나리오에는 제게는 전혀 있을 법하지 않은 것들이 있어요. 하지만 마이크의 영화고 그를 존경하기 때문에 제 관점을 끼어들지 않았습니다."라고 덧붙였다.[3]
카렌 역에는 나스타샤 킨스키가 캐스팅되었는데, 이는 마이크 피기스 감독의 첫 번째 선택이었다. 제작사인 뉴 라인 시네마의 부사장 리처드 사퍼스타인은 "우리는 중산층 미국이 이 캐스팅에 어떻게 반응할지 자문했다"고 밝혔으나, 피기스 감독은 이 영화가 인종 간의 사랑을 다룬 '정글 피버'와 같은 영화가 아니라 "관계에 대한 불륜의 영향에 대한 이야기"라고 설명하며 인종 문제에 대한 우려를 일축했다.[3]
찰리 리버스 역을 맡은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는 영화 제작 당시 약물 중독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마이크 피기스 감독은 다우니 주니어가 첫 만남에서 "맨발에, 마약에 취해, 권총을 휘두르며" 나타났다고 회상했다.[6] 주요 촬영 기간 동안 다우니 주니어는 코카인 및 헤로인 소지, 이웃집 무단 침입 혐의로 체포되기도 했다.[7] 그러나 며칠 후 촬영장에 복귀한 그는 피기스 감독이 "정신을 번쩍 들게 하는" 연기라고 표현할 만큼 뛰어난 연기를 선보여 제작진을 놀라게 했다. 피기스 감독은 "그는 제시간에 맞춰 왔고 놀라운 연기를 보여줬습니다. 그가 겪고 있는 문제들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순수한 수준에서도 믿을 수 없을 정도였습니다."라고 말했다.[8] 평론가들은 창백하고 저체중인 모습으로 에이즈 환자 찰리를 연기한 다우니 주니어의 모습과 그의 실제 상황 사이에 "소름 끼치는" 유사점이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9] 그의 뛰어난 연기는 1998년 아카데미상 후보로 거론될 정도였으나, 시상식 당시 다우니 주니어가 다시 수감될 상황에 처하면서 실제 후보 지명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10]
5. 평가
영화 ''원 나이트 스탠드''는 개봉 후 비평가들 사이에서 평가가 엇갈렸다.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비교적 낮은 신선도 점수를 기록하며 비판적인 반응이 우세함을 보여주었다.[11] 관객 평가 역시 시네마스코어 기준으로 평균 "C" 등급에 머물렀다.[12]
긍정적인 평가에서는 마이크 피기스 감독 특유의 분위기 있는 연출과 배우들의 연기, 특히 주연 배우 웨슬리 스나이프스와 나스타샤 킨스키의 섬세한 감정 연기, 그리고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인상적인 조연 연기가 호평을 받았다.[13][14] 로저 이버트와 같은 일부 유명 평론가들은 영화에 긍정적인 추천 의견을 내기도 했다.[17]
하지만 뉴욕 타임스 등 일부 매체에서는 영화의 각본이 피상적이고 설득력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혹평했다.[15] 일부 코미디 장면의 어색함이나 완성도 부족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었다.[16]
이러한 엇갈린 평가 속에서도 주연 배우 웨슬리 스나이프스는 이 영화에서의 연기력을 인정받아 제54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권위 있는 볼피컵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20]
5. 1. 비평가 반응
''원 나이트 스탠드''는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반응을 얻었다.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39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33%의 지지율과 5.1/10의 평균 평점을 기록했다.[11] 시네마스코어에서 설문 조사에 참여한 관객들은 A+에서 F까지의 척도에서 평균 "C" 등급을 부여했다.[12]긍정적인 평가 중, ''버라이어티''의 데이비드 루니는 영화가 마이크 피기스 감독 특유의 분위기를 강조하는 재즈처럼 유연하고 매혹적이라며, "관계와 인생의 선택을 재평가하는 복잡하고 거의 실존적인 관점"을 담고 있다고 평했다. 그는 결말이 다소 아쉬울 수 있지만, 그 전까지의 내용만으로도 충분히 비평적인 지지를 얻을 만하다고 덧붙였다.[13] CNN의 폴 타타라는 영화가 "방황하고 거의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볼 가치가 있다"고 언급하며, 특히 스나이프스와 킨스키 사이의 연기 호흡이 "매력적이고, 조심스러우며, 완전히 믿을 만하다"고 호평했다. 또한 다우니의 연기에 대해서는 "이 이야기들을 흔히 망치는 종류의 연민이 완전히 없는 계시"라고 극찬했다.[14] 영화 평론가 로저 이버트 역시 영화에 추천 의견을 보냈다.[17]
반면, 부정적인 평가도 있었다. ''뉴욕 타임스''의 자넷 마슬린은 "피기스는 ''원 나이트 스탠드''로 유감스러운 백조 다이빙을 한다"고 혹평하며, 피기스가 쓴 각본이 "항상 고통스러울 정도로 피상적이거나 말을 잃는다"고 지적했다. 그녀는 원안을 쓴 조 에스터하스가 각본 크레딧을 포기한 점을 언급하며 각본의 문제점을 강조했다.[15] ''살롱''의 찰스 테일러는 스나이프스의 연기는 긍정적으로 보았지만, 그가 등장하는 일부 장면들, 예를 들어 강아지가 그의 사타구니 냄새를 맡는 장면이나 아내와 함께 연 저녁 식사 장면 등은 "정말 끔찍한 코미디" 또는 "더 끔찍한 순간들"이라고 비판했다.[16] 진 시스켈은 ''시스켈 & 이버트'' 방송에서 영화에 비추천 의견을 표했다.[17]
감독인 마이크 피기스는 1999년 인터뷰에서 자신의 전작 ''라스베가스를 떠나며''의 성공에 놀랐으며, 오히려 ''원 나이트 스탠드''가 상업적으로 크게 성공할 것이라 예상했다고 밝혔다. 그는 ''원 나이트 스탠드''의 흥행 부진에 대해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아직 잘 모르겠다"고 언급했다.[18]
시간이 흐른 뒤, 2021년 스크린 랜트의 카일 윌슨은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출연 영화 59편 중 ''원 나이트 스탠드''를 47위로 선정했다. 그는 영화가 "기대할 수 있는 매력이나 관능성을 실제로 갖추고 있지는 않지만, 매우 훌륭한 연기를 자랑한다"고 평가하며, 특히 다우니가 연기한 병든 친구 역할에 대해 "잠재적으로 냉소적이고 상을 노리는 역할에 영혼이 담긴 감수성을 부여한다"고 긍정적으로 언급했다.[19]
5. 2. 수상 내역
웨슬리 스나이프스는 이 영화로 제54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볼피컵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20]상 | 부문 | 후보 | 결과 |
---|---|---|---|
새틀라이트상 | 작곡상 | 마이크 피기스 | 후보 |
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 | 남우조연상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후보 |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남우상 | 웨슬리 스나이프스 | 수상 |
6. 한국판 성우진 (MBC, 2000년 4월 2일)
참조
[1]
웹사이트
One Night Stand (1997)
https://www.boxoffic[...]
2011-07-27
[2]
뉴스
COMPANY TOWN Top Dollar for Movie Idea Screenwriter Eszterhas Gets a Record-Setting Deal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1994-10-14
[3]
웹사이트
Figgis' Own Idea of 'One Night Stand' : Story of Chance Romantic Encounter Is Ripped From Pages of Eszterhas Script
https://www.latimes.[...]
1996-09-06
[4]
뉴스
Writing life's wrongs;Joe Eszterhas
The Times
1994-11-13
[5]
웹사이트
Six Questions for Mike Figgis
https://www.indiewir[...]
1997-11-00
[6]
웹사이트
Robert Downey Jr: from lost cause to highest-paid Hollywood actor
https://www.theguard[...]
2019-01-17
[7]
웹사이트
A Troubled Actor's Rude Awakening
https://www.latimes.[...]
2019-01-17
[8]
웹사이트
Will Downey's Difficulties Hurt His Career?
https://www.latimes.[...]
2019-01-17
[9]
간행물
One Night Stand
https://ew.com/artic[...]
2021-10-20
[10]
웹사이트
A Look at Downey Jr.'s Downfall
https://www.latimes.[...]
2019-01-17
[11]
웹사이트
One Night Stand (1997)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24-08-07
[12]
웹사이트
CinemaScore
http://www.cinemasco[...]
[13]
웹사이트
One Night Stand
https://variety.com/[...]
1997-09-08
[14]
웹사이트
CNN - Review: "One Night Stand" is little ado about something - November 21, 1997
http://edition.cnn.c[...]
1997-11-21
[15]
웹사이트
'One Night Stand': A Chance Encounter Enlivens a Vapid Life
https://archive.nyti[...]
[16]
웹사이트
"One Night Stand"
https://www.salon.co[...]
1997-11-15
[17]
서적
The Jackal/Anastasia/The Man Who Knew Too Little/One Night Stand/The Tango Lesson/Kiss or Kill
Buena Vista Television
1997-11-15
[18]
웹사이트
Interview with Mike Figgis
http://thehollywoodi[...]
2008-02-00
[19]
웹사이트
Robert Downey Jr. Ranked Worst to Best
https://screenrant.c[...]
2021-03-14
[20]
뉴스
Snipes wins best actor at Venice Film Festival
https://www.tampabay[...]
Tampa Bay Times
[21]
웹사이트
One Night Stand
https://www.boxoffic[...]
Amazon.com
2014-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